함평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평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함평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선거구이다. 이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광군·함평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성우, 서상국, 김의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평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함평군의 정치 - 함평군수 선거
함평군수 선거는 함평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시작되어 이석형이 3번, 안병호와 이상익이 각각 2번 당선되었으며, 2020년과 제8회 선거에서는 이상익이 당선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함평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영광군·함평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함평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이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광군·함평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설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함평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2. 2. 폐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광군·함평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함평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이성우 | 무소속 | 10,870 | 31.93%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상국 | 민주국민당 | 6,901 | 38.09%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김의택 | 무소속 | 10,637 | 26.94%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김의택 | 민주당 | 21,832 | 50.30%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김의택 | 민주당 | 29,195 | 63.27% |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성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서상국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상국 | 민주국민당 | 6,901 | 38.09 |
한규흥 | 무소속 | 4,985 | 27.51 |
이규정 | 무소속 | 2,083 | 11.49 |
임방원 | 무소속 | 1,208 | 6.66 |
안종림 | 무소속 | 1,142 | 6.30 |
이성우 | 대한국민당 | 684 | 3.77 |
권승일 | 무소속 | 531 | 2.93 |
손정헌 | 무소속 | 386 | 2.13 |
정호현 | 무소속 | 195 | 1.07 |
김제광 | 대한국민당 | 0 | 0 |
김일진 | 대한국민당 | 0 | 0 |
양학기 | 무소속 | 0 | 0 |
김우현 | 무소속 | 0 | 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의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의택 | 무소속 | 10,637 | 26.94 |
윤인식 | 자유당 | 9,655 | 24.45 |
김우영 | 무소속 | 6,188 | 15.67 |
이재혁 | 무소속 | 5,508 | 13.95 |
신현기 | 무소속 | 2,829 | 7.16 |
김용우 | 무소속 | 2,332 | 5.90 |
신호열 | 무소속 | 1,217 | 3.08 |
김교석 | 무소속 | 1,114 | 2.82 |
이갑수 | 무소속 | 0 | 0 |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의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의택 | 민주당 | 29,195 | 63.27 |
김철 | 무소속 | 16,942 | 36.72 |
합계 | 46,137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